체했을때 증상 7가지와 원인 5가지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은 음식을 급하게 먹다가 체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된 대처 방법을 알지 못해 고생만 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겪는 체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그리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먼저 일반적인 체했을 때 증상으로는 속이 메스껍고 더부룩하며 답답한 느낌이 드는 것인데 심할 경우 구토 및 설사도 동반될 수 있다. 또한 두통 증세도 나타날 수 있으며 손발이 차가워지고 식은땀이 나기도 합니다.
만약 평소 소화기관이 약한 사람이라면 더욱 쉽게 체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소화 불량이 있는 경우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체했을 때 증상 7가지
체했을 때 증상 1. 체한 느낌
위 확장이 늦어지거나 충분히 확장되지 않으면 음식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지고 먹기 시작하자마자 배가 불렀다고 느끼게 됩니다. 과식으로 인한 포만감과는 달리 조금밖에 먹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체했을 때 증상 2. 식사 중 조기 포만감
위 확장이 늦어지거나 충분히 확장되지 않으면 음식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지고 먹기 시작하자마자 배가 불렀다고 느끼게 됩니다. 과식으로 인한 포만감과는 달리 조금밖에 먹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체했을 때 증상 3. 식사 후 불편한 포만감
포만감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됩니다.
체했을 때 증상 4. 명치통
위와 십이지장의 지각 과민이나 위의 내압 상승 등이 원인으로, 먹은 음식이나 위산 등의 자극에 의해 명치 부근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공복 시 통증을 반복적으로 느끼는 경우에는 위·십이지장 궤양이 의심됩니다.
체했을 때 증상 5. 명치의 작열감
위와 십이지장의 지각 과민 등이 원인으로 명치 부근에 뜨겁고 타는 듯한 불쾌한 증상이 보입니다.
체했을 때 증상 6. 상복부에 팽만감
상복부에서 불편한 압박감이 느껴집니다.
체했을 때 증상 7. 메스꺼움
토하고 싶은 느낌이 듭니다.
체했을 때 원인 5가지
체했을 때 원인 1. 과식
위는 먹은 것을 일정 시간 저장하고 소화하기 쉬운 형태로 바꾸어 소장으로 보냅니다. 과식하면 위장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기대기의 증상이 일어나기 쉬워집니다.
음식에는 소화하기 쉽고 소화하기 어려운 것이 있습니다. 튀김 등 기름직 식사는 밥이나 빵 등 탄수화물에 비해 소화에 시간이 걸리기 쉽고 위에 가해지는 부담도 커지기 때문에 체하기 쉬워집니다. 또한 향신료와 카페인을 많이 포함하는 음식과 음료는 위산의 분비를 촉진해 너무 많이 섭취하면 위산 과다 상태가 됩니다.
체했을 때 원인 2. 과음
알코올의 약 20%는 위에서 흡수되고 나머지 80% 정도가 소장을 통해 체내로 들어갑니다. 알코올을 과음하면 위산으로부터 위벽을 지키고 있는 점막의 기능이 깨지거나 점막의 혈류 장애가 일어나 복통이나 구토, 토혈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소장에서의 소화 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설사를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체내에 들어온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가 되는데 대사를 다 하지 못하고 아세트알데히드라는 물질이 남게 되면 그 독성으로 인해서 숙취나 체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체했을 때 원인 3. 노화로 인한 위 기능 저하
위는 주로 전동운동을 통해 음식을 소화하여 소장으로 내보냅니다. 그런데 고령이 되면서 이 기능이 쇠퇴하게 되면 음식물 소화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오래 위에 머물게 되면서 더부룩함이 생기기 쉽습니다. 노화에 따라 위 점막을 보호하는 혈류가 약해지는 것도 위의 상태가 좋지 않은 원인이 됩니다.
체했을 때 원인 4. 스트레스
스트레스로 인해 위의 기능을 조절하고 있는 자율신경의 균형이 흐트러지면 음식을 소화하거나 소장으로 내보내는 기능이 약해져 체통의 원인이 됩니다.
체했을 때 원인 5. 임신 호르몬 영향
임신 초기에 급격한 호르몬이나 대사 변화, 또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체하거나 메스꺼움 등의 '입덧'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자궁이 커지게 되면 위가 압박을 받거나 전동 운동이 저하되어 더부룩함을 느끼기 쉬워질 수도 있습니다.
댓글